DIERYA DK66 키보드

특이한 배열의 키보드가 저렴하길래 사봤다

 

- 60% 배열 키보드

- 블루투스 5.1 & 유선

- RGB LED 백라이트

- ABS 키캡

- 배터리 1900mAh

- 게이트론 광축 스위치(청, 갈, 적)

- 핫 스왑

- IPV4 방수 

- 더블 스페이스 바

 

사진에 보이듯 긴 스페이스 하나가 둘로 나누어져 있다

처음에 보고 나름 참신하다 생각했지만, 막상 구매해서 사용하다 보니 왼손으로만 스페이스 바를 누르는 나를 발견했다

그래서 오른쪽 스페이스 바는 전혀 사용하지 않음

 

 

가격에 비해 패키징 퀄리티가 좋다

패키징 박스가 단단한 재질이고 자석식으로 열고 닫게끔 되어있다

 

생각보다 구성도 알차다

키보드 루프는 물론이고 스페어 축 2개, C타입 케이블, ESC를 포함한 MAC용 키캡, 키캡 리무버, 스위치 리무버까지 포함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RGB 이펙트는 여러가지가 있고 위 이펙트들 외에도 누르면 발광되는 몇가지 이펙트도 있는데 귀찮아서 찍지 않았다

 

배터리가 부족할시 오른쪽 Alt가 빨간색으로 깜빡거린다.

 

내가 구매한 축은 게이트론 광축(청축)인데 특이하게 처음부터 ESC와 Fn의 축이 적축으로 끼워져 있었고, 스페어 스위치가 청축이다

이전 사진에는 스페어 스위치가 적축으로 보이지만, 내가 바꿔낀 후 사진을 찍어서 그렇다

스테빌은 체리식인 것 같고 스테빌에 윤활까지 되어 있다

요즘 키보드들은 윤활이 기본이 된건가?

 

어차피 해외 구매 제품이라 실질적으로 AS는 불가(구매 가격보다 택배비가 더 나옴)했기 때문에 분해를 해 봤다

배터리는 스펙대로 1900mAh인 것 같고 과연 기재해놓은 대로 블루투스 5.1인가를 확인해 보려고 했지만, 칩셋 넘버 부분을 다 뭉개놔서 확인 불가능... 아마 블루투스 5.1은 아니지 않을까 싶음. MCU는 SE32F08L64로 확인됨

패키징이나 구성은 그럴듯 했으나, 확실히 제품을 까보니까 저가 제품인게 보인다

 

좀 사용해보고 느낀점(보통의 키보드와 다른점)

- 스페이스 바가 2개지만 하나만 사용하게 됨

- 일반적인 키보드의 한/영 키가 위치할 곳에 "Fn"기능을 담당하는 키가 있고, 그 옆에 Menu 키, 그리고 그 옆에 한/영 동작을 하는 키(Alt)가 있음

  -> "Fn"을 담당하는 키는 다른 키로 맵핑 불가능한 것 같고,, 그 옆에 Menu키를 한/영키로 맵핑해서 사용중

- 오른쪽 Shift 키가 짧아서 불편

 

 

소프트웨어도 제공하고 있다. 키마다 LED를 지정하고 변경할 수 있고, 특정 키를 다른 키로 맵핑하거나 매크로를 지정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링크: bit.ly/2mkG2oA

 

소프트웨어 사용법

'aso-'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VOTEC GUARDIAN 800 ARGB 타이탄 글래스  (0) 2020.08.19
17PIN 무선선풍기  (0) 2020.07.09
NZXT C850 80Plus Gold Full Modular  (0) 2020.06.15
Keychorn(키크론) K4  (0) 2020.02.20
DEEPCOOL GAMER STORM MACUBE 310P  (0) 2019.11.16

유무선 기계식키보드를 사용해 본적이 없는데 어쩌다 알게되서 구매까지하게 된 키보드

킥스타터에서 펀딩해서 나온 제품이라는데 이전에 K1, K2 등 사이즈나 스펙등이 조금씩 다른 시리즈로 계속 출시 되고 있는 것 같다.

바디 재질과 백라이트로 종류가 나뉜다.

- 화이트 백라이트+플라스틱 / RGB 백라이트+플라스틱 / RGB 백라이트+알루미늄

스위치

- 게이트론[청축, 갈축, 적축, 황축] / 옵티컬(광)[청축, 적축]

 

나는 RGB백라이트+알루미늄, 게이트론 황축을 구매했다.

 

플라스틱, 알루미늄은 키캡 색상도 서로 반대다.

 

일단 나는 유무선, 텐키가 있는것 치고 컴팩트한 사이즈, 안써본 게이트론 스위치가 끌려서 구매하게 됐다.

배터리도 4000mAh로 꽤나 큰 용량이 들어갔다.

 

구성은 심플하게 키보드, 키캡 리무버, 윈도우용 키캡, 케이블이다. 케이블은 ㄱ자형 직조선으로 되어 있고

간단하게 연결, 페어링, 백라이트 변경 방법등이 그려진 안내서와 책자로 되어 있는 설명서가 따로 있다.

 

일단 유무선. 이 키보드는 C type 단자로 충전 및 유선연결에 사용된다.

C type 단자 옆에 Windows/Mac를 스위칭할 수 있는 버튼과 블루투스-OFF-유선을 스위칭하는 버튼이있다.

맥용 기계식 키보드가 별로 없기 때문에 윈도우/맥 겸용인 점이 꽤 메리트가 있어 보인다.

설명에 따르면 최대 3대의 기기와 멀티페어링이 가능하다고 한다 (Fn + 1~3로 스위칭)

 

그리고 사이즈. 비교 키보드는 왼쪽 앱코 무접점 K995P, 오른쪽 레오폴드 fc750r 이다.

사진에 보이듯 텐키리스와의 차이보다 풀키와의 차이가 더 많이 난다.

키 사이 빈 공간을 없애고 전부 따닥따닥 붙여놔서 텐키가 들어갔음에도 컴팩트하다.

보통 사무용으로는 풀 사이즈 키보드를, 게이밍용으로 텐키리스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건 어떤 용도든 괜찮아 보인다.

 

그리고 스위치. 게이트론 황축을 구매했는데, 게이트론 스위치 자체를 처음 써봤다.

일단 내가 가진게 체리 적축밖에 없어서 체리 적축과 비교하자면 좀 더 서걱거리는것 같은?

이 부분은 좀 더 써봐야 될 것 같으니 나중에 추가하기로.

 

RGB도 화려하게 잘 들어온다.

 

근데 키보드가 높다. 키보드 바디 자체도 높은데다 키캡도 체리 높이가 아니라 oem 높이라서 꽤 높다. 

손목받침대 필수일듯?

비교 마우스는 로지텍 g304, 키보드는 앱코 무접점 K995P

 

그리고 키 레이아웃. 빈 공간 없이 키를 배열하다보니 당연히 키배열이 낯설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오른쪽 shift키가 보통 키보드들 보다 작고, 나 같은경우 home, end, del, insert, pgup, pgdn 같은 키를 자주 쓰는데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방향키도 자주쓴다면 방향키를 누르려고 할때마다 키보드를 쳐다보면서 누르게 된다.

물론 익숙해지면 문제가 안된다.

 

그리고 내가 알루미늄 바디로 샀는데 가지고 다니기엔 꽤 묵직하다. 나는 어차피 옮길일이 거의 없어서 상관 없지만

이 키보드를 자주 휴대하거나 옮겨다닌다면 플라스틱 바디로 하는게 좋을 것 같다.

 

+ 배터리 잔량을 확인 할 수 없음

'aso-'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VOTEC GUARDIAN 800 ARGB 타이탄 글래스  (0) 2020.08.19
17PIN 무선선풍기  (0) 2020.07.09
NZXT C850 80Plus Gold Full Modular  (0) 2020.06.15
DIERYA DK66 Double Spacebar Keyboard  (0) 2020.03.12
DEEPCOOL GAMER STORM MACUBE 310P  (0) 2019.11.16

# 토렌트 설치

- transmission-daeon 설치

$ sudo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

 

- 토렌트 폴더 생성

$ sudo mkdir "디렉토리"

 

- transmission 설정 파일 변경

$ sudo /etc/init.d/transmission-daemon stop
$ sudo vi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 수정

"rpc-username": "접속할 계정",
"rpc-password": "패스워드",
"download-dir": "다운로드 완료 디렉토리 경로",
"incomplete-dir": "다운중 디렉토리 경로",
"incomplete-dir-enabled": true,

"trash-original-torrent-files": true // 토렌트 다운로드 시작시 토렌트 파일 제거

"rpc-whitelist-enabled": false // 접속제한 설정

"rpc-whitelist": "192.168.*.*"  //ex) ->내부네트워크만 접속허용

: 추가

"watch-dir": "디렉토리 경로", //해당 디렉토리에 토렌트 파일 업로드시 자동 다운로드 시작

"watch-dir-enabled": true

$ sudo /etc/init.d/transmission-daemon start

 

- 외장 부팅시 자동 마운트 + 접근권한설정

$ sudo vim /etc/fstab

맨 아래에 추가: UUID="XXX" /XXX/XXX vfat defaults,uid=pi,gid=pi,dmask=000,fmask=113,user,rw 0 0 

(->외장하드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소유자 pi, 파일 권한 664 디렉토리 권한 777 설정)

 

 

# 토렌트 다운완료 후 토렌트 목록에서 제거

- transmission 정지하고 settings.json 편집

sudo /etc/init.d/transmission-daemon stop
$ sudo nano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 변경

 "script-torrent-done-enabled": true,

 "script-torrent-done-filename": "/home/pi/script/torren_autodelete.sh",

 

 

- 디렉토리 권한 주기

$ sudo chmod 777 /home/pi/script
$ sudo chown -R pi /home/pi/script

 

- 스크립트 생성

$ sudo vim /home/pi/script/torrent_autodelete.sh

: 입력

#!/bin/sh
SERVER="포트 --auth ID:PASSWORD"  //settings.json에 설정했던 포트,ID,패스워드 
TORRENTLIST=`transmission-remote $SERVER --list | sed -e '1d;$d;s/^ *//' | cut --only-delimited --delimiter=" " --fields=1`
for TORRENTID in $TORRENTLIST
do
    DL_COMPLETED=`transmission-remote $SERVER --torrent $TORRENTID --info | grep "Percent Done: 100%"`
    STATE_STOPPED=`transmission-remote $SERVER --torrent $TORRENTID --info | grep "State: Seeding\|Stopped\|Finished\|Idle"`
    if [ "$DL_COMPLETED" ] && [ "$STATE_STOPPED" ]; then
        transmission-remote $SERVER --torrent $TORRENTID --remove
    fi
done 

 

 

- 실행 가능하게 변경하고 데몬 재실행

$ sudo chmod +x /home/pi/script/torrent_autodelete.sh
$ sudo /etc/init.d/transmission-daemon restart

 

 

 

# 참고

- (403 에러시) transmission-daemon이 setting.json 파일을 접근하는디렉토리-링크 생성

$ sudo mkdir -p /home/pi/.config/transmission-daemon
$ sudo ln -s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home/pi/.config/transmission-daemon
$ sudo chown -R pi:pi /home/pi/.config/transmission-daemon
$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start

- transmission이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stop
$ sudo vim /etc/init.d/transmission-daemon
-> debian-transmission 대신 자신의 계정명으로 수정
// transmission-daemon 폴더에 대한 사용자계정 사용권한 변경
$ sudo chown -R pi:pi /etc/transmission-daemon
$ sudo chown -R pi:pi /etc/init.d/transmission-daemon
$ sudo chown -R pi:pi /varlib/transmission-daemon
// user 항목 수정
$ sudo vim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transmission-daemon.service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변경내용이 시스템에 반영되도록
$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start //한후 transmission 다시 실행

 

- 디렉토리 권한 변경

$ chgrp debian-transmission "디렉토리 경로" 

- 계정 그룹에 추가

$ usermod -a -G debian-transmission "계정"

- Download 폴더에 모든 권한 부여 

$ sudo chmod 777 /Download

- Download 폴더의 소유자 변경

$ sudo chown -R "계정" /Download 

 

+ transmission으로 받은 파일은 Owner=Group=debian-transmission

'rasp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자동 마운트  (0) 2020.01.20
라즈베리파이, 마우스 딜레이  (0) 2019.08.04
라즈베리파이, DBCP 설정  (0) 2018.05.14
Mysql, root 비밀번호 분실  (0) 2018.05.10
라즈베리파이, mysql 설치  (0) 2018.05.02

+ Recent posts